[무예이야기]/무술야사

탄생/당랑권에 영향을 미친 기술들

Today's Master 2021. 5. 10. 15:54
728x90

1. 태조장권(太祖長拳)
2. 한통(韓通)의 통배권(通背拳)
3. 정은(鄭恩)의 전봉(纏封)
4. 온원(溫元)의 단권(短拳)
5. 마적(馬籍)의 단타(短打)
6. 손항(孫恒)의 후권(猴拳)
7. 황점(黃粘)의 고신(靠身)
8. 도장(綯張)의 면장비질(面掌飛疾)
9. 회덕(懷德)의 솔장경붕(摔將硬崩)
10. 유흥(劉興)의 구루채수(勾摟採手)
11. 담방(譚方)의 곤루관이(滾漏貫耳)
12. 연청(燕靑)의 점나질법(占拏跌法)
13. 임충(林沖)의 원앙각(鴛鴦脚)
14. 맹소(孟甦)의 칠세련권(七勢連拳)
15. 최연(崔連)의 와리부추(窩裏剖捶)
16. 양곤(楊滾)의 곤채직입(棍採直入)
17. 금상(金相)의 개수통권(磕手通拳)
18. 왕랑(王朗)의 당랑권(螳螂拳)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