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마음을 비로서 비우는것이 일의 시작이다.
  • 겨우내 추위가 심할수록 이듬해 잎이 더 푸르듯...
[무예이야기]/내가삼권

李家 太極八势(基礎一型)

by Today's Master 2020. 1. 23.
728x90

제1식/ 太极起势(태극기세)

제2식 / 金刚捣碓(금강도대)

제3식 / 云手(운수)

제4식 / 白鹅亮翅(백학량시)

제5식 / 六封四闭(육봉사폐)

제6식 / 单鞭(단편)

양징보(楊澄甫; 1883-1936), 명; 조청(兆淸). 양건후의 3남. 양로선과 함께 태극권 역사상 가장 유명한 인물

제7식 / 抱头推山(포두추산)

제8식 / 收势(수세)

 

설명: 좁은 공간에서 태극권의 주요 기술을 수련할 수 있게 고안된 기초형입니다.

각 초식의 연속성과 회전력 연마, 현대 생활의 공간적 문제를 감안하여 수련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무예이야기] > 내가삼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北派 少林拳 練拳 要訣  (0) 2020.01.31
天山氣功(2) - 實演  (0) 2020.01.31
태극권 신체요결 (Taijiquan body requirements)  (0) 2020.01.29
天山氣功(1) - 槪要  (0) 2020.01.28
太極拳 要訣(태극권 요결)  (0) 2019.12.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