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마음을 비로서 비우는것이 일의 시작이다.
  • 겨우내 추위가 심할수록 이듬해 잎이 더 푸르듯...

[무예이야기]/내가삼권7

型(礎式) 公開(1) - 太極八势(基礎一型) 제1식 / 太极起势(태극기세) 제2식 / 金刚捣碓(금강도대) 제3식 / 云手(운수) 제4식 / 白鹅亮翅(백학량시) 제5식 / 六封四闭(육봉사폐) 제6식 / 单鞭(단편) 제7식 / 抱头推山(포두추산) 제8식 / 收势(수세) 좁은 공간에서 적지 않은 운동량을 유지하고 상하체의 기감을 운행하는데 쓰임이 좋은 초식을 공개합니다. 2021. 2. 9.
北派 少林拳 練拳 要訣 ☯ 北派 少林拳 練拳 要訣 ☯ · 基本要領 1. 올바른 型의 修練은 意識의 隋伴을 要한다. 2. 修練은 서두르거나 초조해 해서는 안된다. 3. 身體의 均衡과 調和에 힘써야 한다. · 北 派 要 訣 1.猫竄伏身意賴觀>고양이와 같이 적에 임하더라도 침착 2.狗閃體柔轉移運>개처럼 몸을 부드럽고 민첩하게 3.兎滾四주分長短>달아나는 토끼처럼 빠르게 4.鷹飜聞微雙翼煥>매처럼 민감하게 5.拳似流星乾坤撓>권은 유성처럼 신속하게 6.眼似電閃日月旋>눈은 번개처럼 빠르고 날카롭게 7.腰如蛇行似錦索>허리는 뱀의 허리처럼 강하고 부드럽게 8.脚賽鑽轉定方盤>발의동작은 빠르고 가볍게 9.行如筒動無形速>몸의 동작은 대나무동이 이동하는 것처럼 몸의 균형을 유지한 채로 신속하게 10.立如釘固身得安>걸음을 멈추었을 때는 바닥에 못 박힌 .. 2020. 1. 31.
天山氣功(2) - 實演 (前功) 準備;自然入靜,양발 角度 45度,下腹部 收縮.呼吸을 均一하게,吸氣時 아랫배가 收縮, 呼氣時 아랫배가 膨脹한다. 下腹部앞에서 양손을 깍지끼고 呼氣와 同時에 서서히 허리를 굽히며 손과 팔을 곧게 편다.掌心은 地面에 댄다. 吸氣와 同時에 原姿勢로 回復. 呼氣와 함께 左側으로 허리를 굽히고 掌心으로 地面을 짚는다. 吸氣와 同時에 原姿勢 回復,以後 右側도 同一. 이것을 1回로하여 6回反復 (後功) 準備는 前功과 同一.呼吸이 調整된 後,양손의 掌心을 위로 가게 하여 손끝을 마주대고 배꼽앞에 둔다. 吸氣와 함께 양손을 左右로 서서히 든다. 원호를 그리며 위로 最大로 올렸을 때 吸氣를 呼氣로 바꿈. 呼氣와 함께 左右로 내린다. 以上을 1回로 하여 6回反復. 各 式의 修練 前 前功, 修練 後 後功을 修練 할 것.. 2020. 1. 31.
태극권 신체요결 (Taijiquan body requirements) 태극권에는 혼란스러울 정도로 많은 요결이 있는 것처럼 보여 진다. 그러나 일단 이러한 요결이 충족되면, 단전이 충만해지는 특별한 감각이 느껴진다. 이러한 느낌은 아마도 신체의 각 부분이 제대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려주는 가장 정확한 지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느낌을 기억하고, 신체 조정과정을 통해 이것을 재현할 수 있다면, 삶은 훨씬 더 용이해질 것이다. 수많은 각개의 요결들을 생각하려 애쓰지 말고, 단지 이것만 생각하면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요결들로는 '머리를 매달아라', '어깨를 이완하라', '팔꿈치를 가라앉혀라', '가슴을 넣어라', '등을 이완하라', '단전을 충만하게 하라', '과를 이완하라' 등이 있다. 이러한 요결들은 어느 때이건 지켜져야 할 것들인데, 특히 정적인 자세에서.. 2020. 1.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