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예이야기]/합기도4 합기유술 기초 합ㄱ1. 제자리 호흡법 3식 1)제자리 양손 오르내리기(어깨높이) 제자리 양팔 벌려 역으로 몸중심으로 모아 허리춤으로 /모아호흡/ 2) 궁전식 양손 뻗어 /위로 호흡/(노젖기) 3) 마식 참장 추장(펼쳐 호흡) 2. 보법 활용 1) 양손 펴서 머리 위로 들어 올리며 회전 보법 (180* 전환) - (검법세) 2) 우측 좌측 휘감으며 회전 보법 2021. 8. 5. 합기도의 어원 - 2 ‘합기도’는 대한민국에서 창시되어 대중화 된 대한민국의 전통무예이다. 합기도는 광복 이후 1946년 일본에서 고국으로 귀국한 덕암(德庵) 최용술(崔龍述)로부터 창시되어 제자들에게 전승되었다. 합기도의 기술들은 신묘막측한 무예기법인 합기(合氣)를 사용하여 상대를 효과적으로 다루는 것이 특징이다. 기술의 유형들을 살펴보면 다양한 공격과 방어기술이 내제되어 있는데, 치기, 차기, 꺾기, 던지기 등의 맨몸을 사용하는 기술과 봉과 검을 사용하거나 무기를 방어하는 무기술 등이 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합기도 [hapkido] (스포츠 백과, 2008., 대한체육회) terms.naver.com/entry.nhn?docId=384488&cid=42872&categoryId=42872 합기도 [개요] ‘합기도.. 2021. 1. 5. 합기도의 어원 - 1 합기도가 우리나라에서 생태계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많은 의미와 해석을 자아내고 있는데 여러 곳에 퍼져있는 자료를 취합하여 정리해본다. 수련인으로써 참조할 만 하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중에서 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8588 합기도(合氣道)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합기도는 약 3000년 전 고대 인도에서 시작된 체술(體術)로 동양의학에서 다루는 신체의 경락까지도 언급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매우 짜임새 있는 무술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 후 불교의 전 encykorea.aks.ac.kr 2021. 1. 4. 合気 柔術 基礎(1) 1. 제자리 호흡법 3식 1)제자리 양손 오르내리기(어깨높이) (* 이 기술은 고류 유술에서 특히 강조하는 기본기입니다.) 제자리 양팔 벌려 역으로 몸중심으로 모아 허리춤으로 /모아호흡/ 2) 궁전식 양손 뻗어 /위로 호흡/(노젖기) 3) 마식 참장 추장(펼쳐 호흡) 2. 보법 활용 1) 양손 펴서 머리 위로 들어 올리며 회전 보법 (180* 전환) - (검법세) 2) 우측 좌측 휘감으며 회전 보법 2019. 12. 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