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예이야기] 29

탄생/당랑권에 영향을 미친 기술들

1. 태조장권(太祖長拳) 2. 한통(韓通)의 통배권(通背拳) 3. 정은(鄭恩)의 전봉(纏封) 4. 온원(溫元)의 단권(短拳) 5. 마적(馬籍)의 단타(短打) 6. 손항(孫恒)의 후권(猴拳) 7. 황점(黃粘)의 고신(靠身) 8. 도장(綯張)의 면장비질(面掌飛疾) 9. 회덕(懷德)의 솔장경붕(摔將硬崩) 10. 유흥(劉興)의 구루채수(勾摟採手) 11. 담방(譚方)의 곤루관이(滾漏貫耳) 12. 연청(燕靑)의 점나질법(占拏跌法) 13. 임충(林沖)의 원앙각(鴛鴦脚) 14. 맹소(孟甦)의 칠세련권(七勢連拳) 15. 최연(崔連)의 와리부추(窩裏剖捶) 16. 양곤(楊滾)의 곤채직입(棍採直入) 17. 금상(金相)의 개수통권(磕手通拳) 18. 왕랑(王朗)의 당랑권(螳螂拳)

탄생/당랑권

당랑권은 중국권법 중 북파권법으로 분류되는 것들 중에서도 특히 실전성이 높은 18문파의 기술을 모아 만들어진 것으로 흔히들 북파권법의 집대성이라고 부른다. 빠른 동작을 구사하고 전체적으로 작고 세밀하여 '근접전'을 주체로 하는 권법이다. 이중에서도 특히 당랑수법이라고 하는 사마귀의 손움직임을 모방한 동작으로 공격할 때는 점혈(급소)을 중심으로 공격하고 방어할 때는 상대의 공격을 막는 모양새를 취하는데 상당수의 후천적 태생의 무술들이 앞다퉈 기법을 변형, 채용할 정도로 기술의 실용성을 높게 인정 받고 있다. 이름 그대로 당랑(사마귀)이 먹이를 잡는 모습을 참고해 만들어진 권법으로 당랑의 형의를 보면 보법에서 매우 불리한 편이어서 인지는 몰라도 원숭이가 발을 교차시키면서 걷는 모양을 기본으로 한, 원후보법을..

의공(意功)과 경공(勁功)

권법을 다년간 배우고, 많은 기법, 동작은 알더라도 일단 적과 마주 쳤을 때, 당황하여 단지 손발만 휘두를 뿐이라면, 이는 한 기법의 반도 쓸모가 없는 셈인데, 이것을 '식(式=동작)은 배우되, 술(術)을 배우지 못했다' 라고 한다. 참된 권법이라면 반드시'공(功)'을 배운다. 공에는 의공(意功)과 기·경공(氣·勁功) 이 있고, 기·경공 은 독습이 가능하지만, 의공은 스승이 대련에 의해 가르쳐주는 것이며, 그러한 가르침이라야 기법의 바른 의미를 깊이 안다는 뜻이다. 저마다인 문파에는 저마다 독특한 권의(拳意)가 있고,또한 독특한 경도(勁道=발경의 방법)가 있지만, 만일 '의'도 '경'도 없다면, 그것은 이미 권법이 아니다. '의'는 권로(拳路=형) 속에 내포돼 있는 실전에서의 필승 기술이나 방법이고, '..

합기도의 어원 - 2

‘합기도’는 대한민국에서 창시되어 대중화 된 대한민국의 전통무예이다. 합기도는 광복 이후 1946년 일본에서 고국으로 귀국한 덕암(德庵) 최용술(崔龍述)로부터 창시되어 제자들에게 전승되었다. 합기도의 기술들은 신묘막측한 무예기법인 합기(合氣)를 사용하여 상대를 효과적으로 다루는 것이 특징이다. 기술의 유형들을 살펴보면 다양한 공격과 방어기술이 내제되어 있는데, 치기, 차기, 꺾기, 던지기 등의 맨몸을 사용하는 기술과 봉과 검을 사용하거나 무기를 방어하는 무기술 등이 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합기도 [hapkido] (스포츠 백과, 2008., 대한체육회) terms.naver.com/entry.nhn?docId=384488&cid=42872&categoryId=42872 합기도 [개요] ‘합기도..

합기도의 어원 - 1

합기도가 우리나라에서 생태계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많은 의미와 해석을 자아내고 있는데 여러 곳에 퍼져있는 자료를 취합하여 정리해본다. 수련인으로써 참조할 만 하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중에서 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8588 합기도(合氣道)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합기도는 약 3000년 전 고대 인도에서 시작된 체술(體術)로 동양의학에서 다루는 신체의 경락까지도 언급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매우 짜임새 있는 무술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 후 불교의 전 encykorea.aks.ac.kr

天符經(천부경) 81자 해설

一始無始一析三極無 일시무시일석삼극무 盡本天一一地一二人 진본천일일지일이인 一三一積十鉅無匱化 일삼일적십거무궤화 三天二三地二三人二 삼천이삼지이삼인이 三大三合六生七八九 삼대삼합육생칠팔구 運三四成環五七一妙 운삼사성환오칠일묘 衍萬往萬來用變不動 연만왕만래용변부동 本本心本太陽昻明人 본본심본태양앙명인 中天地一一終無終一 중천지일일종무종일 일시무시일석삼극무진본 一始無始一析三極無盡本 조물주는 비롯된 바 없는 태초의 일신(하나님)이요 무극(혼돈)에서 태극으로 시작(진화)되어 다시 삼극(천=신명계,지=물질계,인=생명계)으로 나뉘었으니 그 본체는 무궁무진 장관이더라 천일일 지일이 인일삼 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하늘은 일신의 얼굴이니 첫째로 성김이요, 땅(자연)은 하나님의 본체(몸)이니 둘째로 소중히 함이요, 사람(민심)은 하나님의 ..

北派 少林拳 練拳 要訣

☯ 北派 少林拳 練拳 要訣 ☯ · 基本要領 1. 올바른 型의 修練은 意識의 隋伴을 要한다. 2. 修練은 서두르거나 초조해 해서는 안된다. 3. 身體의 均衡과 調和에 힘써야 한다. · 北 派 要 訣 1.猫竄伏身意賴觀>고양이와 같이 적에 임하더라도 침착 2.狗閃體柔轉移運>개처럼 몸을 부드럽고 민첩하게 3.兎滾四주分長短>달아나는 토끼처럼 빠르게 4.鷹飜聞微雙翼煥>매처럼 민감하게 5.拳似流星乾坤撓>권은 유성처럼 신속하게 6.眼似電閃日月旋>눈은 번개처럼 빠르고 날카롭게 7.腰如蛇行似錦索>허리는 뱀의 허리처럼 강하고 부드럽게 8.脚賽鑽轉定方盤>발의동작은 빠르고 가볍게 9.行如筒動無形速>몸의 동작은 대나무동이 이동하는 것처럼 몸의 균형을 유지한 채로 신속하게 10.立如釘固身得安>걸음을 멈추었을 때는 바닥에 못 박힌 ..

天山氣功(2) - 實演

(前功) 準備;自然入靜,양발 角度 45度,下腹部 收縮.呼吸을 均一하게,吸氣時 아랫배가 收縮, 呼氣時 아랫배가 膨脹한다. 下腹部앞에서 양손을 깍지끼고 呼氣와 同時에 서서히 허리를 굽히며 손과 팔을 곧게 편다.掌心은 地面에 댄다. 吸氣와 同時에 原姿勢로 回復. 呼氣와 함께 左側으로 허리를 굽히고 掌心으로 地面을 짚는다. 吸氣와 同時에 原姿勢 回復,以後 右側도 同一. 이것을 1回로하여 6回反復 (後功) 準備는 前功과 同一.呼吸이 調整된 後,양손의 掌心을 위로 가게 하여 손끝을 마주대고 배꼽앞에 둔다. 吸氣와 함께 양손을 左右로 서서히 든다. 원호를 그리며 위로 最大로 올렸을 때 吸氣를 呼氣로 바꿈. 呼氣와 함께 左右로 내린다. 以上을 1回로 하여 6回反復. 各 式의 修練 前 前功, 修練 後 後功을 修練 할 것..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