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마음을 비로서 비우는것이 일의 시작이다.
  • 겨우내 추위가 심할수록 이듬해 잎이 더 푸르듯...

[무예이야기]/무술야사4

탄생/당랑권에 영향을 미친 기술들 1. 태조장권(太祖長拳) 2. 한통(韓通)의 통배권(通背拳) 3. 정은(鄭恩)의 전봉(纏封) 4. 온원(溫元)의 단권(短拳) 5. 마적(馬籍)의 단타(短打) 6. 손항(孫恒)의 후권(猴拳) 7. 황점(黃粘)의 고신(靠身) 8. 도장(綯張)의 면장비질(面掌飛疾) 9. 회덕(懷德)의 솔장경붕(摔將硬崩) 10. 유흥(劉興)의 구루채수(勾摟採手) 11. 담방(譚方)의 곤루관이(滾漏貫耳) 12. 연청(燕靑)의 점나질법(占拏跌法) 13. 임충(林沖)의 원앙각(鴛鴦脚) 14. 맹소(孟甦)의 칠세련권(七勢連拳) 15. 최연(崔連)의 와리부추(窩裏剖捶) 16. 양곤(楊滾)의 곤채직입(棍採直入) 17. 금상(金相)의 개수통권(磕手通拳) 18. 왕랑(王朗)의 당랑권(螳螂拳) 2021. 5. 10.
탄생/당랑권 당랑권은 중국권법 중 북파권법으로 분류되는 것들 중에서도 특히 실전성이 높은 18문파의 기술을 모아 만들어진 것으로 흔히들 북파권법의 집대성이라고 부른다. 빠른 동작을 구사하고 전체적으로 작고 세밀하여 '근접전'을 주체로 하는 권법이다. 이중에서도 특히 당랑수법이라고 하는 사마귀의 손움직임을 모방한 동작으로 공격할 때는 점혈(급소)을 중심으로 공격하고 방어할 때는 상대의 공격을 막는 모양새를 취하는데 상당수의 후천적 태생의 무술들이 앞다퉈 기법을 변형, 채용할 정도로 기술의 실용성을 높게 인정 받고 있다. 이름 그대로 당랑(사마귀)이 먹이를 잡는 모습을 참고해 만들어진 권법으로 당랑의 형의를 보면 보법에서 매우 불리한 편이어서 인지는 몰라도 원숭이가 발을 교차시키면서 걷는 모양을 기본으로 한, 원후보법을.. 2021. 5. 7.
의공(意功)과 경공(勁功) 권법을 다년간 배우고, 많은 기법, 동작은 알더라도 일단 적과 마주 쳤을 때, 당황하여 단지 손발만 휘두를 뿐이라면, 이는 한 기법의 반도 쓸모가 없는 셈인데, 이것을 '식(式=동작)은 배우되, 술(術)을 배우지 못했다' 라고 한다. 참된 권법이라면 반드시'공(功)'을 배운다. 공에는 의공(意功)과 기·경공(氣·勁功) 이 있고, 기·경공 은 독습이 가능하지만, 의공은 스승이 대련에 의해 가르쳐주는 것이며, 그러한 가르침이라야 기법의 바른 의미를 깊이 안다는 뜻이다. 저마다인 문파에는 저마다 독특한 권의(拳意)가 있고,또한 독특한 경도(勁道=발경의 방법)가 있지만, 만일 '의'도 '경'도 없다면, 그것은 이미 권법이 아니다. '의'는 권로(拳路=형) 속에 내포돼 있는 실전에서의 필승 기술이나 방법이고, '.. 2021. 1. 26.
번자권에 대한 글 소개 번자권의 특징 번자권은, 주먹 연타를 공격의 주체로 하는 북파권법이다. 이름에 단긴 [번]은 [번생불식(숨도 쉬지 않고 연속으로 한다)]라는 단어의미를 간략화한 것이다. 기법의 특징을 이름에 가장 잘 표현한 무술이며 그 특징은 접근한 상태에서 상대가 쓰러질 때까지 좌우 연타를 쏟아 부어 상대를 몰아치는 스타일을 추구하는 특징이 있다. 번자권은 형의 또는 팔극권 계열의 기법이 일격필살(?)에 가까운 묵직하지만 파괴력있는 기술을 추구하는데 반하여 가볍고 빠른 연속 공격으로 상대를 제압할 수 있는 기술을 추구한다. 예를들어,번자권에서는 하나 하나의 기술을 구사할 때 팔을크게 휘두르는 일은 하지 않는다. 주먹을 뻗을 때, 상반신은 팔꿈치 앞부분을내지르는 정도, 하반신도 허리를 가볍게 돌리는 정도에 그친다. 극히.. 2019. 12. 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