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마음을 비로서 비우는것이 일의 시작이다.
  • 겨우내 추위가 심할수록 이듬해 잎이 더 푸르듯...
論.../論3-경영-일반

중대재해 예방에 대한 중소기업 대표의 현실 인식

by Today's Master 2023. 8. 30.
728x90

중소기업중앙회 주관으로 50인 미만 사업장,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전국 순회 설명회가 진행중이다.

관련한 공문의 내용을 간락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추진배경) 2024.1.27일부터 5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해서도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될 예정으로, 현장 대응방안 및 정부 지원사업 등 안내 필요
  • 중소기업의 80%가 준비하지 못했다고 답변하였고 상담부분 준비하였다는 답변은 고작 20%에 그쳤다(자료: 중기중앙회, ‘23.5.)
  • 설명회 개요

ㅇ (개최시기) ’23. 8. 29. ~ 10. 10.

ㅇ (장 소) 전국 30개 지역

ㅇ (참석대상) 50인 미만 중소기업 대표 및 안전보건 담당자 등

ㅇ (공동주최) 중소기업중앙회, 대한전문건설협회, 안전보건공단

 

어제 기사를 보면

DL이앤씨, 노동청 압수수색 받아…대형 건설사 최초 중대재해법 처벌 받나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만덕건설 대표이사 징역형 선고

 

일부 기사에서는 중소기업사업주 입장에서는 불합리 한 조항이 많다며 법의 유예나 연장을 요구하는 기사가 있지만 현재 돌아가는 분위기상 이들의 요구사항이 국회를 통하여 개정되거나 보류되긴 현실적으로 어려운게 사실이다.

사고는 한치도 예측할 수 없는 것이며 누구나 그 대상이 된다.

그리고 예정된 법은 특단의 조치가 있지 않는 한, 그대로 시행될 것으로 보면 된다. 이는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사고를 당한 근로자가 결국 원하는 것은 사업주의 진정어린 사과가 첫번째이고 원만한 금전적 보상에 대한 유족과의 합의가 두번째이다.

처벌을 피하는 것은 고사하고 문제는 금전적 보상인데....

그래서 기업이 직원들을 대상으로 단체보험을 준비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법의 시행을 앞두고 관련법 준수를 위한 준비사항을 한번이라도 살펴본 기업주라면 예방차원의 대응과정을 준비하기에는 비용, 인력, 시간등의 복합적인 문제가 눈 앞을 까마득하게 한다. 그래서 가장 준비하기 쉬운 방법은 두번째 이슈인 금전적 보상에 대한 보험을 드는 것 뿐이다.

안심하고 차근차근 본인들의 기업에 알맞는 부대사항을 준비하는 것이 현실적일 것이다.

 

** 관련하여 engitkorea@naver.com으로 문의주시고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시면 관련자료를 보내드리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