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마음을 비로서 비우는것이 일의 시작이다.
  • 겨우내 추위가 심할수록 이듬해 잎이 더 푸르듯...

거시경제2

요즘 환율시장, 그리고 얽혀있는 경제지표들 이해하기 요즘 환율시장, 그리고 얽혀있는 경제지표들 이해하기 배추값에서 집값까지 모든 가격은 시장수급으로 결정된다. 환율도 마찬가지이다. 장기적으로 보면 환율은 국가경제의 펀더멘털을 반영한다. 경제가 튼튼하고 경기전망이 밝으면 통화가치도 강해지고, 그렇지 않으면 통화가치도 약해진다. 하지만 그 때 그때의 환율은 결국 외환시장의 수급에 의해 결정된다. 서울 외환시장은 원화와 달러화를 사고 파는 시장이다. 외환시장에 달러공급이 풍부해지면 달러의 값어치는 떨어지고 원화가치는 오른다(원/달러 환율의 하락). 반면 달러공급이 줄어들면 달러가치는 상승하고 원화의 가치는 하락한다.(원/달러 환율의 상승). 이성철의 '2040 경제학 스트레칭' 중에서 (플루토북, 168p) 환율 하락(원화 강세)이 요즘 경제의 중요한 화두 중.. 2007. 7. 6.
한국경제의 해외 리스크 요인들 한국경제의 해외 리스크 요인들 현정택 KDI 원장은 27일 “미국 부동산경기 침체 등으로 인해 심각한 경제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정택원장은 이날 대한상공회의소 주최로 ‘하반기 경제전망과 한국경제의 과제’를 주제로 한 조찬강연에서“미국 부동산경기 침체에 따른 미국의 소비둔화 가능성,중국경제의 과열에 따른 중국당국의 긴축정책 추진여부,국제 유가 변동성,환율변동 등 리스크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되면 심각한 경제위기를 불러올 수 있다”고 말했다. '세계경제리스크 경제위기 불러올수도' 중에서 (파이낸셜뉴스, 2007.6.27) 요즘 한국경제가 '지표상'으로는 조금 나아보입니다. 요며칠 꺾이기는 했지만 초강세를 보였던 주가도 그렇고, 경제연구소들의 경제성장률 전망치 상향 조정도 그렇습니다. 물.. 2007. 6.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