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마음을 비로서 비우는것이 일의 시작이다.
  • 겨우내 추위가 심할수록 이듬해 잎이 더 푸르듯...
[무예이야기]/무술야사

탄생/당랑권

by Today's Master 2021. 5. 7.
728x90

당랑권은 중국권법 중 북파권법으로 분류되는 것들 중에서도 특히 실전성이 높은 18문파의 기술을 모아 만들어진 것으로 흔히들 북파권법의 집대성이라고 부른다.

빠른 동작을 구사하고 전체적으로 작고 세밀하여 '근접전'을 주체로 하는 권법이다. 이중에서도 특히 당랑수법이라고 하는 사마귀의 손움직임을 모방한 동작으로 공격할 때는 점혈(급소)을 중심으로 공격하고 방어할 때는 상대의 공격을 막는 모양새를 취하는데 상당수의 후천적 태생의 무술들이 앞다퉈 기법을 변형, 채용할 정도로 기술의 실용성을 높게 인정 받고 있다.

이름 그대로 당랑(사마귀)이 먹이를 잡는 모습을 참고해 만들어진 권법으로 당랑의 형의를 보면 보법에서 매우 불리한 편이어서 인지는 몰라도 원숭이가 발을 교차시키면서 걷는 모양을 기본으로 한, 원후보법을 결합하였다.

원후보법을 써서 상대의 좌우로 흔들리듯 접근해서 끊임없이 상대의 측면이나 뒤쪽의 헛점을 노린다. 상대를 휘감듯이 돌아들어가듯 움직이며 당랑수에 의한 손기술(手技)을 연속해서 구사한다. 연속이라 하더라도 아무렇게나 하는게 아니라 상하로 나누고, 그것도 언제나 급소를 노리는 것을 기본 격투 전법으로 한다.

이 기술체계를 기반으로 당랑권은 전법상의 특색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된다고 한다. 당랑수에 의한 공격을 중점적으로 구사하여 상대를 쓰러뜨리는 것을 주체로 하는 파를 경당랑권이라 하고, 상대의 자세를 발걸이나 관절기로 무너뜨리거나 기술에 허를 섞음으로서 상대를 교란시키면서 공격을 구사하는 것을 주체로 하는 파를 연당랑권이라고 한다.

경파에는 칠성,매화라는 분파가 대표적이다. 한편, 연파에는 육합당랑권이라는 분파가 해당된다. 양파의 중간으로 팔보당랑권이 존재하는데 형의권,통비권,팔괘장의 기술을 차입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전체적으로 보면 "쉬지않고 상하 좌우의 공격 및 수비 기술을 조합하여 단숨에 승부를 낸다"는 것이 당랑권이라 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