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마음을 비로서 비우는것이 일의 시작이다.
  • 겨우내 추위가 심할수록 이듬해 잎이 더 푸르듯...
論.../論3-경영-일반

< 정부24, 그리고 데이터 24+ >

by Today's Master 2025. 4. 2.
728x90

1. 데이터베이스의 수집 및 갱신 방식에 대한 이해 

* 정보의 비실시간성:
    정부24가 수집하는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갱신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일부 사업자 정보는 수시로 변경될 수 있지만,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수집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최신 정보가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 정보를 수집, 가공해서 (유료)서비스를 제공하는 크레탑, 나이스비즈라인도 유사합니다.
    
* 정보 제공 주체의 제한:
    정부24가 모든 (유효)사업자로부터 직접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아니며, 
    일부 정보는 사업자의 필요성(인허가/자격취득/납세/고용/기타 등)에 의해 그들로부터 제공받거나 

    기타 공공기관이 확보하고 있는 기존 데이터베이스를 임차, 활용합니다. 
    이 과정에서 정보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데이터 검증의 한계: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작업으로 검증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요즘 각광받고 있는 IT 기술 중, BIGDATA, A.I 기술로도 제어가 어렵습니다.

    아날로그 데이터와 디지털 데이터가 혼재되어 있고, 누락되어 있을 수 있으며 
    투명성을 강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오류를 검출하더라도 모든 오류를 완벽하게 잡아낼 수는 없습니다.

2. 사업자 정보의 특성

* 사업자 정보 변경의 빈번함:
    사업자는 상호, 주소, 대표자, 전화번호 등을 빈번하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특히, 소규모 사업자의 경우 변동성이 더욱 클 수 있습니다.
* 명의 대여 및 불법 행위:
    일부 사업자는 명의를 대여하거나 불법적인 목적으로 정보를 허위로 등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그대로 반영되어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제:
    개인사업자의 경우, 사업자 정보와 개인정보가 혼재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 규정으로 인해 일부 정보가 익명화되거나 변경될 수 있습니다.

3. 데이터베이스의 목적과 활용

* 정보 제공 목적의 우선:
   정부24의 데이터베이스는 주로 정보 제공 목적으로 활용되며,
   법적의무에 따라 실시간 정확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것은 아닙니다.

* 법적 책임의 제한:
   정부24는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에 대한 법적 책임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정보의 오류 가능성을 인정하고,
사용자에게 주의를 당부하는 것입니다.



:: 결론 ::

정부24의 사업자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유용한 정보 제공 수단이지만, 정보의 비 실시간성, 수집 및 갱신 방식의 한계, 사업자 정보의 특성 등으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활용할 때에는 반드시 추가적인 확인 과정을 거치는 것이 중요하며 자료를 있는 그대로 맹신하여서는 안됩니다.
다만 이러한 형태의 디지털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곳은 전세계 대한민국 전자정부밖에 없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으며 개인이 정보를 추적하고 수집하기 위한 노력과 비용을 투자하는 것보다 공적인 형식과 체계에 의해 지속적인 수집과 관리가 이뤄지고 있는, 정부기반 데이터베이스는 충분한 전략적 영업적 가치 이상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2025.04 ENGITKOREA 이선희 대표, 온라인 기고문 요청원고에서 발췌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