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예이야기] 29

태극권 신체요결 (Taijiquan body requirements)

태극권에는 혼란스러울 정도로 많은 요결이 있는 것처럼 보여 진다. 그러나 일단 이러한 요결이 충족되면, 단전이 충만해지는 특별한 감각이 느껴진다. 이러한 느낌은 아마도 신체의 각 부분이 제대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려주는 가장 정확한 지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느낌을 기억하고, 신체 조정과정을 통해 이것을 재현할 수 있다면, 삶은 훨씬 더 용이해질 것이다. 수많은 각개의 요결들을 생각하려 애쓰지 말고, 단지 이것만 생각하면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요결들로는 '머리를 매달아라', '어깨를 이완하라', '팔꿈치를 가라앉혀라', '가슴을 넣어라', '등을 이완하라', '단전을 충만하게 하라', '과를 이완하라' 등이 있다. 이러한 요결들은 어느 때이건 지켜져야 할 것들인데, 특히 정적인 자세에서..

金海兵書

삼국시대 고구려의 연개소문이 지은 것으로 전해지는 병서로 김해(金海)는 연개소문의 자(字)라고 한다. 이 책은 신라의 아찬(阿飡) 설수진(薛秀眞)이 지었다는 『육진병법(六陣兵法)』과 더불어 안타깝게도 오늘날 전하지 않는 고대 병서의 하나이다. 『고려사』에 1036년(정종 2) 8월 서북로병마사가 왕에게 아뢰기를 “『김해병서』는 무략(武略)의 요결(要訣)이오니 청컨대 연변의 주진(州鎭)에 각각 한 책씩 하사하소서.” 하니 왕이 이를 따라 행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이 『김해병서』를 연개소문이 지었다고 주장한 학자는 신채호(申采浩)이다. 연개소문에 대한 역사적 재평가를 시도했던 신채호의 입장으로는 마땅히 저자 미상인 이 병서의 정체를 밝혀 장막에 가려진 삼국시대 전쟁사의 일면을 재조명하려 했을 것이다. 그가 ..

天山氣功(1) - 槪要

天山氣功은 特別한 禁忌事項없이 簡便하게 修練할 수 있는 것으로 遊身八卦門의 基礎功法인 天剛氣功(改稱). 1. 練拳前練功 2. 元氣增强,身體를 剛健하게 하고 疾病豫防 效果. 3. 疾病 退治 效能 (前功)順筋功,修練 前의 準備運動 (後功)調息功.修練 後의 呼吸調節로 腹部와 胸部의 安定을 꾀한다. 1. 聚寶於甁功 ;立式, 丹田部位의 鍛鍊 2. 鵬展高空功 ;立式, 丹田强化 蓄氣 修練 3. 吸虹吐艶功 ;馬式, 心海縮氣의 會陰 打通 4. 閉氣暖身功 ;立式, 心海蓄氣의 全身 流通 5. 入靜洗隨功 ;馬式, 丹田氣血의 百會 打通 6. 萬理擎天功 ;馬式,氣血을 全身으로,全身 經絡 打通 7. 彎弓射鳥功 ;馬式, 팔로 이끌어 全身氣力 到達 8. 旋乾轉坤功 ;弓式, 身體의 外形과 內部 强化 9. 可堪回首功 ;弓式, 身形의 强壯..

李家 太極八势(基礎一型)

제1식/ 太极起势(태극기세) 제2식 / 金刚捣碓(금강도대) 제3식 / 云手(운수) 제4식 / 白鹅亮翅(백학량시) 제5식 / 六封四闭(육봉사폐) 제6식 / 单鞭(단편) 제7식 / 抱头推山(포두추산) 제8식 / 收势(수세) 설명: 좁은 공간에서 태극권의 주요 기술을 수련할 수 있게 고안된 기초형입니다. 각 초식의 연속성과 회전력 연마, 현대 생활의 공간적 문제를 감안하여 수련할 수 있습니다.

宮中武術 合氣道 技術內容,修練 目次

초급에서 고단자까지의 수련 체계와 기술 내용이 정리된 것을 올려드립니다. 마찬가지로 1990년대 초중반까지 각급 수련관에서 지도하던 내용입니다. 9級... 예의, 기초짜기 5, 기본수 15, 기초형 5 8級... 손목수 11, 의복수 13, 돌아차기 7級... 안손목수 6, 맥치기 15, 초급형, 2단차기 6級... 중손목수 7, 잡기 10, 평돌아차기 5級... 중의복수 20, 맥차기 15, 뛰어 돌아차기 4級... 쌍수잡기 15, 방투기 10, 중급형, 뛰어 돌아 옆차기 3級... 손목수 15, 뒷수 10, 양발 벌려 차기 2級... 양손잡기 15, 두발 모아 차기 1級... 단도 막기 15, 고급형, 삼방초 차기 段補>단봉 21동작, 검9동작, 단보형1·2, 월장차기, 장봉11동작 * 특이하게 단보..

번자권에 대한 글 소개

번자권의 특징 번자권은, 주먹 연타를 공격의 주체로 하는 북파권법이다. 이름에 단긴 [번]은 [번생불식(숨도 쉬지 않고 연속으로 한다)]라는 단어의미를 간략화한 것이다. 기법의 특징을 이름에 가장 잘 표현한 무술이며 그 특징은 접근한 상태에서 상대가 쓰러질 때까지 좌우 연타를 쏟아 부어 상대를 몰아치는 스타일을 추구하는 특징이 있다. 번자권은 형의 또는 팔극권 계열의 기법이 일격필살(?)에 가까운 묵직하지만 파괴력있는 기술을 추구하는데 반하여 가볍고 빠른 연속 공격으로 상대를 제압할 수 있는 기술을 추구한다. 예를들어,번자권에서는 하나 하나의 기술을 구사할 때 팔을크게 휘두르는 일은 하지 않는다. 주먹을 뻗을 때, 상반신은 팔꿈치 앞부분을내지르는 정도, 하반신도 허리를 가볍게 돌리는 정도에 그친다. 극히..

국술의 술기와 형

1. 예의 및 기초 1) 기본자세 2) 인사 3) 공격․방어자세 4) 단전기법(기초짜기) 5) 손으로 공격할 때 각 부분의 명칭 6) 십자막기 7)손목빼기 8) 낙법 9)기초형 2. 초급반 1) 기본수(15수) 2) 손목수(11수) 3) 의복수(13수) 4) 안손목수(6수) 5) 맥치기(15수) 6) 맥차기(15수) 7) 초급형 3. 중급반 1) 손목수(7수) 2) 의복수(20수) 3) 뒤의복수(23수) 4) 관절기(13수) 5) 투기(13수) 6) 잡기(20수) 7) 방투기(10수) 8) 목조르기(3수) 9) 중급형 4. 고급반 1) 손목수(15수) 2) 의복수(15수) 3) 양손잡기 4) 쌍수 5) 고급형 5. 대급반 1) 좌기(15수) 2) 와기 3) 단도막기 4) 대급형 6. 유단과정 1) 2인처..

合気 柔術 基礎(1)

1. 제자리 호흡법 3식 1)제자리 양손 오르내리기(어깨높이) (* 이 기술은 고류 유술에서 특히 강조하는 기본기입니다.) 제자리 양팔 벌려 역으로 몸중심으로 모아 허리춤으로 /모아호흡/ 2) 궁전식 양손 뻗어 /위로 호흡/(노젖기) 3) 마식 참장 추장(펼쳐 호흡) 2. 보법 활용 1) 양손 펴서 머리 위로 들어 올리며 회전 보법 (180* 전환) - (검법세) 2) 우측 좌측 휘감으며 회전 보법

太極拳 要訣(태극권 요결)

1. 허령정경(虛靈頂勁) 정두현(頂頭懸)이라고도 하며, 목의 긴장을 풀고 머리의 자세를 바르게 유지함으로서 정신과 기가 머리꼭대기를 관통하도록 유도한다. 정두현이란 머리꼭대기에 실을 매어 위로 메단 듯 한 모습이라는 말이다. 2. 함흉발배(含胸拔背) 함흉은 가슴부위에 힘을 빼고 안으로 약간 움추리듯 하는 것 이며, 아주 자연스럽게 편안한 자세를 취해야하며, 무리하게 자세를 만들면 안된다. 함흉은 상체의 기를 하복부의 단전부위로 가라앉히는 작용을 한다. 함흉은 임맥(任脈)의 소통을 돕고, 발배는 독맥(督脈)의 소통을 촉진시킨다. 3. 침견추주(沈肩墜팔꿈치주) 침견은 양쪽어깨의 긴장을 이완시켜 자연스럽게 아래로 내리는 것이며, 추주는 양쪽 팔꿈치 관절을 부드럽게하여 아래로 처지게하는 동작이다. 어깨나 팔꿈치..

武藝修練에 必須,禁忌事項

武藝修練에 必須,禁忌事項 各個 執筆 1(94.10.31) 1. 마음가짐의 淨化 2. 意慾의 鼓吹..... 自信感을 갖고서 成果를 期待하기에 앞서 努力 3. 禮始禮終.... 先他後我의 生活姿勢 强調, 犧牲과 奉事精神의 基盤 4. 武藝窮極의 目的.... 活人,修道 5. 武藝修練眞理.... 允執基中 , 中庸(中道) 6. 작은것에 滿足,보람감의 意味를 알게 함. 7. 環境의 깨끗함과 整理整頓.... 마음정화의 外部 表現行動임. 亂雜하지 않고 바르게 모을 수 있는 것 誠實한 삶의 姿勢涵養 8. 人和하는 삶.... 서로 돕고 和合하는 修練過程의 目標. 9. 많은 經驗을 通해 施行錯誤가 없도록 誘導. 10.不義를 智慧롭게 對處하는 實力,德目(道場)의 兼備 11. 밖은 暴雨가 쏟아져도 마음은 언제나 맑..

728x90
반응형